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카카오
- Arcylic DNS Proxy
- Documentation
- WSL
- docker
- 구글
- 개발환경
- Swagger-PHP
- dnsmasq
- windows
- Laravel
- Apache Solr
- 문서화
- windows 11
- 지도
- backup
- php
- Infra
- window defender
- 백업
- 충돌
- Drupal
- wsl2
- JavaScript
- 유틸리티
- vite
- API
- Drulal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PHP (2)
J-한솔넷

지난달에 WSL2 + Docker 개발환경이 너무 느리다고 글을 적었는데, 이번에는 다시 WSL2를 이용해야 하는지 고민되는 내용을 적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Laravel의 자바스크립트 스타일시트 빌드를 위해 NodeJS를 설치하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예전에는 로컬에 NodeJS를 별도로 설치해서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Docker 컨테이너에 포함시켜 이용하고 있습니다.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자바스크립트 패키지를 설치하던 중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WSL2를 사용하지 않는 Docker 컨테이너 WSL2를 사용하지 않으면 Docker는 Hyper-V 기반에서 컨테이너를 실행되고, bind mount 형태로 공유된 폴더의 경우 심블릭 링크를 만들 수 없고,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권한 문제에 영향..
제가 API 문서화에 관심을 가진 것이 컨트리를 앱을 개발하면서 인듯 합니다. 제가 서버와 백엔드를 맞고, 서울에 있는 개발자가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기로 하고 시작했는데, API 개발 후 Postman 등에서 읽을 수 있는 Json 형식의 문서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에 문서화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Postman에만 국한 할 것이 아니라 나중에 유지보수 등을 위해서 프로젝트 내에 문서화되어 Swagger UI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UI를 톷해 바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Swagger PHP를 사용하여 문서화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주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가 Laravel을 이용하다보니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도구가 있었으면 해서 찾아보니 L5-Swagger가 있었습니다. ..